페이지 정보
페이지주소 : http://files.pompae.or.kr/bbs/content.php?co_id=0308
시련
의미
영산재 도량에 불, 보살, 옹호신중(擁護神衆), 영가를 봉청(奉請)해 모시는 의식으로, 대중이 연(輦)을 들고 절입구로 나아가 나무대성인로왕보살(南無大成引路王菩薩)의 인도로 재 도량으로 모셔오는 의식이다.
절차
대중이 각종 번과 연을 들고 시련 장소에 나아가 태징을 한마루 올리어 아래글을 제창하는데, 금일 재에 시방의 성현과 이를 옹호하는 옹호신을 청하는 절차로 옹호게 → 헌좌게/헌좌진언 → 다게 → 행보게→ 산화락 → 나무대성인로왕보살 → 긔경작법 → 영축게→ 보례삼보의 순서이다.
재대령
의미
영혼에게 간단한 法食을 베품을 말하며, 베풀 시(施)자와 밥식(食), 즉 시식이라고도 한다. 시식은 상단권공전 시식과 권공후 영가에게 베푸는 시식, 그리고 영반 등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진행되는 재대령 의식은 상단권공전 시식절차로 영가를 청해 모셔와 상단권공에 들어가기 전 공양을 베푸는 의식으로 대 령이라 한다.
절차
대령은 "사명일(四明日)대령과 재대령이 있고, 재대령 가운데 또 민(愍)대령으로 나눌 수 있으나" 보통 재와 영산재에서는 재대령을 한다. 대령을 풀이하면 대할 대(對)자와 신령 령(靈)자로, 영가를 청해 이곳까지 오셨으니 배고픔(곡기)을 달래기 위해 절 입구 해탈문 밖에 영가의 단을 꾸며 한 가운데 인로번(引路幡), 좌변에 종실번(宗室幡), 우변에 고혼번(孤魂幡)을 갖춘 후 대령재(對靈齋)를 거행했다. 그러나 근래 들어 관욕절차(灌浴節次)와 더불어 이러한 절차는 찾아 볼 수 없고 간단히 도량 한쪽에 대령의식 단을 꾸민다. 영단에 과일과 진수를 준비해 영가의 배고픔을 달래는 의식이다. "영가시어, 서방극락세계불인 극락도사(導師)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을 청해 모셨으니 본 재에 앞서 차와 음식을 드시라"는 의식으로 유교의 본 제사에 앞서 지내는 상식과 같은 절차이다. 불교의 시식은 한 영가만이 아닌 모든 영혼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베푸는 의식이다.
거불 → 대령소 → 착어 → 진령게 → 고혼청 → 향연청 → 가영 등의 순서로 진행
관욕
의미
영혼(영가)이 불단에 나가 불법을 듣기 전에 사바세계에서 지은 三毒(탐 진 치)으로 더럽혀진 몸과 마음의 업을 부처님의 감로법으로 깨끗이 닦아드리는 의식이다.
절차
먼저 관욕실(灌浴室(所))을 꾸미는데 {작법귀감} 하단관욕규(下壇灌浴規)에 "고혼을 맞이하여 관욕실 3칸을 만들며 그 높이는 3척 넓이는 4척, 북쪽은 막히게 하고 중간 두 곳에는 천수구(天類區)와 제왕구(帝王區), 동쪽 두 곳에는 장상구(將相區)와 남신구(男神區), 서쪽 두 곳은 후비구(後妃區;왕비)와 여신구(如神區) 등 3문(間)6소(所)의 단을 꾸민 후 밖에다 창호지로 각 단의 구(軀)를 써 붙이고, 각 욕실구 앞에 상을 하나씩 준비한 후 그 위에 위패를 놓고 그 앞에 양치질할 물 6그릇과 거울을 놓아 위패 앞 촛불을 켜서 그 불빛이 위패로 하여금 물에 비치게 하며, 또 다른 작은 상 6개를 준비하여 그 위에 양치질할 물과 거울과 버드나무로 만든 이쑤시게할 나무와 칫솔 등을 놓고, 얼굴 닦는 면포와 몸 닦을 면포 그리고 옷을 가상에다 걸어놓고, 지의(紙衣)는 접어서 지의봉투에 넣어 영가 이름을 적고 상자에 담는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설치한 후 휘장을 가리고 그 앞에 다시 상을 준비해서 상 위에 향과 촛불을 밝히고, 밖에다 관욕할 물을 준비해 향을 넣어 향화탕(香湯水)해서 청사가 끝나면 욕기를 씻은 후 관욕염불시 대중이 지극한 마음으로 함께 축원해야 하며, 유나(維那;주지스님이나 주장)스님이 향을 올린 후 관욕단을 향하여 3배 하고 무릎꿇고 헛된 생각을 하지 말고 송문관의(誦文觀義)하라"고 되어 있다. 이렇듯 하단 관욕규에 관욕절차에 대해 전해지고 있으나 근래 들어 이 역시 보기 어렵고, 요즘은 간단히 관욕소를 만들어 병풍으로 가린 후 그 안에 각기 두 개의 세수대야에 물과 향을 섞어 만든 향탕수와 종이로 접은 지의(바지저고리) 두 벌과 촛대와 향로 영가위목을 마련하고, 기와장 위에 오동나무를 발처럼 짜 올린 후 그 위에 창호지로 만든 바지 저고리를 두 벌 접어 올려 놓는 등 예전에 비하여 간소화하여 설치하고 있다. 한편 병풍 밖에는 진언에 따라 영가에게 결수로써 법을 지도해 주실 증사스님 한 분 내지 세 분을 모시고, 그 뒤에 상주와 불자가 앉고 한쪽에 법주와 바라지, 그 뒤에 사물 다루는 스님과 삼현육각이 자리하며, 법주스님의 화의재진언시화의재 진언바라춤과 병풍 안쪽에서는 영가를 모시고 들어간 스님이 지의를 태우는데, 지의를 태울 때는 오동나무로 된 저분을 사용하며 지단진언을 가리키면 관욕의식은 끝이 나고 그제서야 영가들은 자리를 옮긴다. 영가는 인로왕보살의 인도 아래 절 도량으로 들어오며 정중게(庭中偈)와 개문게(開門偈)와 더불어 삼보께 예를 드린 후 법성게(法性偈)를 돈 후 하단, 즉 고혼단(영가단 혹 감로단)에 좌정해 모신 후 차를 대접해 드리는 의식으로 관욕의식은 끝을 맺는다.
* 관욕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예향욕편 → 정로진언 → 입실게 → 가지조욕편(짓소리와 더불어 관욕쇠 바라) → 목욕진언 → 작양지진언 → 수구진언 → 세수면진언 → 가지화의편 → 화의재진언(화의재진언바라) → 수의진언 → 착의진언 → 정의진언 → 출욕참성편 → 지단진언 → 정중게 → 개문게 → 가지예성편 → 보례삼보 → 범성게 → 괘전게 → 수위안좌진어 → 다게
조전점안
의미
명부세계에서 사용되는 금은전(金銀錢)을 점안하는 의식이다 .
절차
맨 먼저 금은전 등을 도량 한편에 마련하고 향탕수 둥을 준비하여 점안하게 되는데, 절차는 금은전점안(천수경부터 참회진언까지) →조전진언, 성전진언, 쇄향수진언, 변성금은전진언, 개전진언 →금은전이운 → 산화락 → 거령산 → 헌전진언
신중작법
의미
불교에는 부처 보살 이외에 범천 및 팔부신중과 더불어 불법을 찬양하며 불법의 외호(外護)를 맹세하는 모습을 나타내는데 이들을 신중(神衆)이라 한다. 이러한 신들은 원래 불교가 발생되기 이전 인도 고대 신화 속의 신들로서 불법을 옹호하는 신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들 신들은 부처님의 불법과 자비로운 마음에 감동되어 호법선신의 기능을 갖고 불교에 귀의하였으며, 특히 무장형의 여러 존상(尊像)을 외호신중(外護神衆) 또는 신장이라 부르며, 이들은 무력으로 적을 항복시키며, 불법을 옹호하고 불경을 수지독송하는 사람들을 외호한다. 이들은 부처나 보살보다는 한 단계 낮은 지위에 있으므로 신중단이란 단을 꾸며 부처님보다 단이 낮은 중단에 모신다.
절차
불법의 수호를 위해 신중작법을 거행한다. 재의 규모나 형태에 따라 39위 및 104위의 신중을 청(請)해 모신다. 순서는 옹호게 → 거목(상단, 중단, 하단)→ 가영 → 탄백
괘불이운
의미
큰 법회나 의식을 거행할 때 특별히 야외에 장소를 마련하고 불화를 설치한다. 이는 법당 안에서 행사하기에 협소함으로 야외에 특별히 법당을 만들기 위한 의식이다.
절차
야외에 특별히 설치된 괘불단을 향하여 부처님을 거령해 모시는 절차.
옹호게 → 찬불게 → 출산게 → 염화게 → 산화락 → 거령산 → 등상게 → 사무량게 →영산지심 → 헌좌게 → 다게 → 건회소
상단권공-영산작법
의미
상단권공은 불보살께 일체대중이 지극한 정성으로 마련한 육법공양과 음성공양으로 불보살님의 가피력을 입을 것을 발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절차
상단권공은 영산재의 핵심을 이루는 절차로써 바깥채비의 중심으로 진행된다. 할향 - 연향게 - 할등 - 연등게 - 할화 - 서찬게 - 불찬 - 대직찬 - 지심신례불타야양족존 - 삼각원 운운 - 중직찬 - 지심신례달마야이욕존 - 보장취 운운 - 소직찬 - 지심신례승가야중중존 - 오덕사 운운 - 개게소 - 합장게 - 고향게 - 영산개게 - 관음찬 - 관음청 - 향화청 - 가영 - 걸수게 - 쇄수게 - 복청게 - 사방찬 - 도량게 - 대회소 - 영산육거불 - 삼보소 - 대청불 - 삼례청 - 사부청 - 단청불 - 헌좌게 - 다게 - 일체공경 - 향화게 - 정대게 - 개경게 - 청법게 - 설법게 - 보걸진언 - 수경게 - 사무량게 - 귀명게 - 창혼 - 지심귀명례 구원겁중 운운 - 정법게진언 - 진언권공(향수나렬) - 상래가지운운 - 육법공양 (배헌해탈향, 배헌반야등 . 배헌만행화, 배헌보리과 , 배헌감로다. 배헌선열미 - 대각석가존 - 각집게 - 가지게 (이차가지묘공구 운운) - 보공양진언 - 보회향진언 - 탄백 - 회심곡/축원화청
식당작법
의미
영산재에 참여한 모든 스님들이 공양하는 의식이다. 이 공양이 이 자리에 오기까지 시자(施者:공양을 베푸는 자 ) 수자(受者:공양을 받는 자) 시물(施物:공양물)의 공덕 및 불, 법, 승을 생각하고, 8가지 수행의 가르침을 삼아 도업(道業)을 성취함은 물론 배고픔에 고통받는 아귀중생에까지 공양을 베풀어 부처님의 참된 가르침을 깨닫게 하는 과정이다. 일반 대중사찰에서 하는 공양과 달리 범패와 홋소리, 짓소리와 작법무가 어우러진 공양의식이다.
절차
운판삼하호 - 당종십팔퇴 - 목어당상초삼통알 - 목어당후오통알 - 오관게<대중창-짓소리> - 하발금오십퇴 - 대중기립 - 정수정건 - 중수타주대중창 - 당좌창 - 중수대중창 타주무 - 대중창 - 당좌창 - 대중창십념 - 당좌창 - 당수대중창 - 오관 및 대중창 - 중수창 - 대중창 - 대중창 - 타주상환 - 당좌창 - 타주권반 - 당좌창 - 공양 - 중수 - 당좌창 - 중수대중창 - 당좌창 - 축원문봉송 - 타주 - 오관소리 - 당좌창 - 오관소리 - 당좌창 - 오관소리 - 중수대중창 - 중수대중창 - 당수창 - 당좌창 - 자귀불 - 대중창 - 대중창
운수상단권공
의미
영산재의 운수상단권공은 명부시왕에 대한 권공으로 소청상위는 각배재(各拜齋;大禮王供齋, 十王各拜齋)로 진행되는데, 운수상단에 불 보살을 청하여 예를 갖추어 공양을 올리며 금일 재의 내용을 소상히 밝히는 절차이다.
절차
불 보살께 진언으로 소청하여 불공을 받드는 사유를 발원하는 절차 이다. 운수상단은 각배재(대례왕공재, 십왕각배재라고도 한다) 바깥채비 중심으로 이어진다.
할향 → 등게 → 정례 → 합장게 → 고향게 → 원부개게 → 정토결계진언 → 쇄향수진언 → 향수훈욕 운운 → 돌진언 → 천수경 <정구업진언 운운 → 신묘장구대다리니까지>→ 복청게 → 천수바라 → 사방차 → 도량게 → 참회게(법문을 할 경우 정대게부터 귀명게까지 한다.) → 정대게 → 개경게 → 개법장진언 (삼남태) → 십념청정법신불운운 → 거량 /수위안좌진언 → 청법게 → 설법게 <법문> → 보궐진언 → 수경게 → 사무량게 → 귀명게 → 준제공덕취 운운 → 건단진언
중단권공
의미
중단 지장보살 증명으로 각존자(各尊者)와 십대명왕(十代冥王) 등 각 대왕과 각종 권속을 청해 권공하는 절차
절차
【중단권공(召請中位)】
1. 거불(擧佛) → 2. 시왕소(十王疏)<독창> → 3. 진령게<1, 3구 법주 요령 흔들며 선창, 2, 4구 바라지 후창>악보 → 4. 보소청진언 → 5. 유치<독창> → 6. 청사<요령을 흔들며 독창> → 7.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偈故我)<대중창> → 8. 청사<독창> → 9.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10. 헌좌게/헌좌진언 → 11. 증명다게<대중창> → 12. 청사<독창> → 13.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14. 청사<독창> → 15.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16. 청사<독창> → 17.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18. 청사<독창> → 19.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20. 청사<독창> → 21.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22. 청사<독창> → 23.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24. 청사<독창> → 25.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26. 청사<독창> → 27.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28. 청사<독창> → 29.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30. 청사<독창> → 31.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32. 청사<독창> → 33.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34. 청사<독창> → 35. 향화청<독창> → 36. 청사<독창> → 37.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38. 청사<독창> → 39.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40. 청사<독창> → 41.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42. 청사<독창> → 43. 향화청/가영<독창> 고아게<대중창> → 44. 가영<독창> → 45. 산화락 → 46. 모란찬(牧丹讚)
【각배상단(各拜上壇)】
1. 근백편 → 2. 보례삼보(普禮三寶;上壇普禮) → 3. 헌좌안위(獻坐安位;再白篇) → 4. 법성게(法性偈)<대중창> → 5. 괘전게(掛錢偈)
【각배중단(各拜中壇)】
1. 헌좌게<요령을 흔든 후 헌좌진언을 독창한다> → 2. 다게
【각배상단(各拜上壇)】
1. 욕건이(欲建尼)<독창> → 2. 다게<대중창> → 3. 향수나열(香垂羅列)<독창후 대중창> → 4. 특사가지(特賜加持) - (짓소리) → 5. 사다라니(四多羅尼) → 6. 오공양/가지게(五供養/加持偈) → 7. 보공양진언 → 8. 보회향진언(普回向眞言) → 9. 상단축원 화청(上壇祝願 和請)
【각배중단(各拜中壇)】
1. 중단개게(中壇開偈) → 2. 사다라니 → 3. 오공양/가지게 → 4. 보공양진언 → 5. 반야심경(금강경찬) 혹 화엄경 약찬게 → 6. 보회향진언 → 7. 탄백(嘆白) → 8. 중단 지장축원 화청(中壇 地藏祝願 和請)
신중퇴공
의미
상단공양물을 신중단에 올리는 절차
절차
1. 다게<대중창> 2. 거목(擧目) 3. 상래가지 운운 4. 보공양진언 5. 보회향진언 6. 원성취진언 7. 보궐진언 8. 정근 9. 탄백 10. 축원
관음시식/전시식
의미
관음보살의 원력으로 영혼단에 공양을 베푸는 의식이다. 상단 불 보살전에 육법공양을 올리고 신중 퇴공과 더불어 축원을 마친 후, 밖에 마련된 하단(감로단, 영단)을 향해 일체 유주무주 영가들의 영혼을 위하여 법식(法食)을 설해주는 의식으로, 앞서 대령재에서는 간단한 면을 올려 청해 모심에 주린 배를 면하시라고 하였지만 이제 영가에게 부처님의 법을 듣고 돌아가심에 있어서도 편안한 영식으로 배불리 공양하시고 돌아가시라는 절차로, 현세와 같이 공양을 올려 드린다.
절차
이때 상단, 중단에 설단했던 공양 등 시물을 하단에 옮긴 후 재자(齋者)들로 하여금 영혼에게 잔을 붓는 절차.
거불 → 착어→ 진령게 → 착어 → 신묘장구대다라니, 파지옥진언 → 해원결진언 → 보소청진언 → 증명청 → 향화청 → 가영 → 헌좌진언 → 다게 → 고혼청 → 향연청 → 가영 → 제불자등 각 영가 → 수위안좌진언 → 제불자등각 영가 → 사다라니 운운 → 칭량성호 → 시귀식진언 → 보공양진언 → 보회향진언 → 수아차법식 → 장엄염불 → 공덕게
봉송 및 소대의식
의미
영산재의 도량에 봉청해 모신 불, 보살, 수호신, 영혼 등을 돌려 보내는 의식이다. 이제 부처님의 법공양과 금일 재자의 지극정성으로 올린 육법공양(六法供養)을 모두 받으셨으니 삼보전에 예를 올린 후 먼저 불 보살을 봉송하고, 그 다음에 수호신으로써 옹호신중, 다음에는 일체 유주무주 유형무형 유상무상 운집고혼한 모든 불자 등 각 열명영가들을 인로왕보살의 인도 아래 소대로 내려 모시는 절차로, 대중과 재자들은 법성계를 염하며 도량 한쪽에 마련된 소대(燒臺)로 향하여 각종 장엄구를 불태운다.
절차
영혼에게 설하는 봉송글귀-행보게-산화락-나무대성인로왕보살-법성게-소대의식